백당 나무 열매 |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221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백당 나무 열매 –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giaohangso1.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giaohangso1.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구름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2,781회 및 좋아요 12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백당 나무 열매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 백당 나무 열매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가을에 붉게 익어가는 백당나무열매
촬영일시 : 2016.9.23
장 소 : 강원도 정선
학 명 : Viburnum sargentii KOEHNE
이 명 : 접시꽃나무
꽃 말 : 마음
인동덩굴과의 백당나무는 봄(5~6월)에 하얀꽃을 피우는데요.
불당 앞에 심는 다고 하여 백당나무라고 합니다.
이것을 개량한것을 불두화이고요.
하얀 꽃주변에는 산수국처럼 헛꽃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결실기(9~10월)에는 가을단풍과 함께 열매도 빨갛게 익어 입맛을 자극하는데요.
호기심에 입에 넣었다가는 혀바닥 큰 코 다칩니다 ^^
입안에서 지랄돌풍이 세차게 몰아 닥친답니다 ㅎ 독성도 있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니 절대로 드시는 일이 없도록 하세요.
열매는 겨울까지 달려 있어 오랫동안 붉은 열정을 만끽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나고 잎자루 끝에 2개의 꿀샘이 있습니다.
꿀샘 : 꽃에서 당을 포함한 점액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곤충이나 새를 유인하여 꽃가루의 매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백당나무의 햇가지는 붉은 녹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 갈색이 되며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묵으면 갈색을 띤다.
줄기의 특징 중 하나 둥근 점모양이 촘촘히 박혀 있습니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고 잔가지와 잎 그리고 열매를 생약명으로 계수조라고 하는데, 가을에 채취하여 말려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이질, 설사, 관절통, 간염, 황달, 타박상, 가려움 등에 좋다고 합니다.
그밖에 옴 오른 데에 달인 물을 바르면 좋습니다.

백당 나무 열매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백당나무 – 검색결과 – 쇼핑하우

백당나무[백당나무 대품] – 묘목 삽목 나무 열매나무 꽃나무 식물 정원 조경 가드닝 가드닝 화분 식물 키우기. 90,000원. 심폴 · 역대 최저가 소망 수국 백당 불두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shoppinghow.kakao.com

Date Published: 6/28/2021

View: 369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백당 나무 열매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백당 나무 열매

  • Author: 구름
  • Views: 조회수 32,781회
  • Likes: 좋아요 125개
  • Date Published: 2016. 10. 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qo_fRmS6tvw

백당나무, 사랑의 열매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백당나무, 사랑의 열매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백당나무는 인동과의 잎지는 넓은잎 작은키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일본과 중국 등지의 숲속이나 양지바른 너덜바위 지역, 계곡가의 습한 곳에 자생한다. 백당나무는 꽃이 희고 불당 앞에 심는다고 해서 백당나무라고 부르며, 잎이 접시모양을 닮아서 접시꽃나무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백당나무의 어린가지와 잎, 열매를 계수조(鷄樹條)라는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학명은 Viburnum sargentii이다.

백당나무 특성

백당나무는 키 높이가 3m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줄기가 여러 개 올라와서 전체적으로 둥근모양을 이룬다. 작은 가지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와 나비가 각각 4∼12cm정도 된다. 잎의 끝은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나 있다. 5월에서 6월에 걸쳐 하얀색의 꽃이 피는데 꽃이삭 주변에는 열매가 열리지 않는 지름 3cm 정도의 중성화(中性花)가 달린다. 가을에는 지름 8∼10mm 정도이고 둥근 열매가 붉게 익는다.

백당나무, 사랑의 열매의 성분

백당나무 종자에는 20% 이상의 기름 성분이 들어있다. 우리가 연말연시에 착용하는 ‘사랑의 열매’가 바로 백당나무 열매인데 겨울철에도 열매가 나뭇가지에 붙어 있어서 힘든 계절에 야생동물들의 훌륭한 먹이가 되는 것에서 착안한 것이다.

백당나무 효능

백당나무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그래서 허리와 다리관절이 쑤시고 아픈 증상, 타박상으로 인한 부종과 동통, 피부의 염증과 부스럼, 종기 등에 사용한다. 열매는 기침에 사용한다.

백당나무 부작용

백당나무는 독이 없어서 별다른 부작용은 아직 보고된 것이 없다.

백당나무 사용량과 주의사항

백당나무는 말린 것을 기준으로 한번에 5그램에서 10그램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갈아서 가루내어 먹는다. 피부질환에는 진하게 달인 물로 씻거나 찜질하기도 하고, 열매를 즙내서 먹기도 한다.

붉고 곱지만 맛없는 열매 – 백당나무

맑고 소박한 사물과 사람들

초록도 울긋불긋함도 없지만, 단풍보다 곱고 영롱했던 붉은빛이 서늘한 산을 더 시리게 합니다. 다른 해 같으면 한 번쯤은 눈이 내리고도 남았을 그런 계절이지만, 눈마저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밀린 것은 아닌가 하는 염려증이 발동합니다.

노르스름하게 물들던 커다란 잎 사이로 반짝이는 열매를 내놓던 백당나무도 겨울을 맞았습니다. 깔때기 모양으로 달린 채 밝고 맑고 영롱하게 빛나며 보석같이 탱탱했던 빨간색 열매도 쪼글쪼글해져 갑니다. 잎이 붉은지 열매가 붉은지로 내기하던 화살나무도 길쭉한 모양의 작은 열매만 남았습니다. 작살나무와 쥐똥나무도 보랏빛 열매와 까만 열매만 달랑달랑 남겼습니다. 이미 먼 곳으로 옮겨가 다시 움틀 터를 잡았어야 할 열매들입니다. 봄부터 푸른 잎들은 광합성을 하며 꽃을 피웠고, 새들의 눈에 확 띄도록 붉은색의 열매를 만들었습니다.

주렁주렁 매달려 늘어진 백당나무 붉은 열매를 봅니다. 산토끼꽃목, 인동과의 백당나무는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랍니다. 푸른 잎은 끝이 3개로 갈라지지만, 위쪽에 나오는 잎은 갈라지지 않고 길쭉합니다. 밑의 잎들에게 더 많은 햇볕을 받게 하는 배려겠지요.

5~6월에 피는 꽃의 가장자리에 있는 흰 잎은 꽃이 아니라 곤충을 유혹하기 위한 눈속임, 헛꽃입니다. 새하얀 가짜 꽃은 벌과 나비를 부르는 역할을 하며 수십 송이의 자잘한 황록색 참꽃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흰나비가 원을 그린 것처럼, 부채춤을 추는 것처럼 예쁩니다. 꽃이 피는 모양이 평평한 접시 모양이라서 접시꽃나무라 부르기도 합니다. 꽃만큼은 아니지만 은은한 향은 벌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밀원식물이기도 합니다. 꽃가루의 맛보다도 봄꽃이 지고 여름꽃이 피기 전, 백당나무의 꽃이 피기 때문이라는 계절상의 이유라지만, 어찌 됐든 일벌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꽃 중의 꽃입니다.

백당나무는 나무의 모양이나, 초여름에 피는 흰색의 꽃송이나, 가장자리부터 물드는 넓적한 잎이나, 가을부터 겨울까지 맺혀있는 빨간 열매들이 참으로 아름다운데도 가정집의 정원수나 공원의 관상용으로 자라지 못하는 아픔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매가 바닥에 떨어져 부패하게 되면, 열매로부터 나오는 냄새는 그 주변을 온통 불쾌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마치, 떨어진 은행알을 밟는 것처럼요.

어디 그뿐인가요? 꽃만큼이나, 꽃보다도 돋보이는 열매는, 좀 더 넓은 세상으로 떠나보낼 준비를 마쳤는데도 아직도 많이 남아있습니다. 새들이 먹기 좋은 크기, 새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곤충이나 새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동그랗고 반질거리는 붉은 열매를 한 알 따 입에 넣습니다. 비릿하고 뒤숭숭한 맛은 금방 뱉게 합니다. 보석같이 영롱한 모양새에서 이런 맛이 나오리라고는 전혀 예기치 못했습니다. 그냥 지나칠 수 없을 정도로 고운 빛깔의 열매가 맛을 내지 않은 이유를 생각합니다.

백당나무뿐만 아니라 꽃 없는 계절에 빛을 발하는 열매들, 백량금, 덜꿩나무, 화살나무, 매자나무, 호랑가시나무 등 단물이 짭짭 나올 듯한 열매들이지만 아무도 먹지 않습니다. 빛깔이 곱고 먹음직스러워도 맛이 없기 때문이지요. 영양분과 수분도 적기 때문입니다.

일부러 맛없는 열매를 만드는 식물들의 지혜랍니다. 예뻐서 보기도 좋고 영양가도 있고 맛도 좋다면, 새들은 열매가 완전히 익기도 전에 몰려들겠지요. 한꺼번에 먹어버리고 한 장소에 많은 양을 배설하겠지요. 그렇게 되면 열매속의 씨앗들이 멀리멀리, 고루고루 퍼지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빨갛게 잘 익은 열매를 따 먹었다가 맛이 없어 금방 되돌아서는 새들이, 붉은색의 끌림에 다시 열매를 찾게 하는 나무의 생존전략, 백당나무의 존재 이유랍니다.

꽃도 잎도 없는 가지에 방울방울 달린 백당나무는 오늘도 내일도 새들을 기다립니다. 열매가 더 마르기 전에, 색깔이 더 검어지기 전에 새의 눈에 뜨이길 바랄 뿐이지요. 불규칙하게 갈라진 줄기의 껍질을 보니, 나무의 안타까운 심정을 보는 듯합니다.

얼마 남지 않은 한 해를 또 보내며, 나 역시 백당나무 열매를 비롯한 맛없고 반짝이는 열매처럼 겉모습만 번듯하지는 않았는지 생각합니다.

<김현락 지면평가위원>

저작권자 © 청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당나무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산토끼꽃목 과: 연복초과 속: 산분꽃나무속 절: 백당나무절 종: 백당나무 학명 Viburnum sargentii

Koehne 이명 [1][2] 이명 목록 Viburnum opulus f. intermedium (Nakai) Sugim.

f. Viburnum opulus f. puberulum Sugimoto

f.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Hara

var. Viburnum opulus var. pubinerve Makino

var. Viburnum opulus var. sargentii (Koehne) Takeda

var. Viburnum pubinerve f. calvescens (Rehder) Nakai

f. Viburnum pubinerve f. intermedium Nakai

f. Viburnum pubinerve f. puberulum Nakai

f. Viburnum sargentii f. calvescens (Rehder) Rehder

f. Viburnum sargentii f. flavum Rehder

f. Viburnum sargentii f. glabra Kom.

f. Viburnum sargentii f. intermedium (Nakai) H.Hara

f. Viburnum sargentii f. puberulum Kom.

f. Viburnum sargentii var. bracteatum Y.Q.Zhu

var. Viburnum sargentii var. calvescens Rehder

var. Viburnum sargentii var. flavum (Rehder) Rehder

var. Viburnum sargentii var. intermedium (Nakai) Kitag.

var. Viburnum sargentii var. puberulum Kitag.

백당나무( 학명: Viburnum sargentii 비부르눔 사르겐티이[*] )는 연복초과의 관목이다.[3] 원산지는 동북아시아이다.[2][4]

한국·중국·일본 등 북반구의 온대와 아열에 널리 분포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 높이 3m에 달하고 어린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양쪽 2개의 열편은 밖으로 벌어진다. 뒷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으며, 길이는 5-1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2-3.5cm로서 끝에 2개의 밀선이 있으며, 밑에 턱잎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길이 2-5cm로 주변에 중성화가 달리고 중앙에 정상화가 달리며 잔털이 있는 것도 있다. 중성화의 화관은 지름 3cm로서 크기가 다른 5개의 열편으로 갈라지고, 정상화의 화관도 5개의 열편으로 갈라지나, 5개의 수술이 있고 꽃밥은 짙은 자주색이다. 핵과는 둥글고 9월에 붉게 익으며 겨울까지 달려 있다. 꽃보다 가을의 열매가 더 돋보인다.

종내 분류군 [ 편집 ]

불두화( V. s. f. hydrangeoides (Nakai) Uyeki ): 모든 꽃이 무성화인 것을 불두화(佛頭花)라 하며 절에서 심고 있다.

f. ): 모든 꽃이 무성화인 것을 불두화(佛頭花)라 하며 절에서 심고 있다. 털백당나무( V. s. f. puberulum Kom. )

f. ) 황실백당나무(V. s. f. flavum Rehder )

사진 [ 편집 ]

각주 [ 편집 ]

붉은 루비처럼 빛나는 백당나무 열매 한창

서울의 고궁에 가면 흔하게 백당나무를 볼 수 있다. 하얀색꽃을 이내 초록색 열매가 되며 10월말쯤이면 붉은색 루비처럼 영롱한 빛을 낸다. 사진은 10월초 창경궁에서 찍은 백당나무 열매다.

부처의 머리 모양처럼 곱슬곱슬하게 생겨 ‘불두화’라 불리는 나무가 있다. 4월 초파일 즈음에 꽃이 만발해 사찰에서 정원수로 많이 심는 나무다.

이 나무는 꽃은 피지만 열매를 맺지 못한다. 유성화와 무성화가 같이 피는 백당나무의 무성화만 남아 만들어진 나무여서 그렇다.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그리했는지 아니면 돌연변이를 통해 유성화는 사라지고 무성화만 남았는지 확인할 수는 없으나 역사는 제법 긴 듯하다. 조선 전기의 학자 서거정의 시 〈원림(園林)〉에도 다음처럼 불두화는 등장한다.

“풀은 맥문동이 사랑스럽게 돋았고(草愛抽書帶)/꽃은 불두화가 비쳐 보이네(花看映佛頭).”

불두화나 백당나무는 5월부터 6월에 하얀 꽃을 낸다. 한 아름 푸짐하게 꽃을 내는 이 나무는 늦봄에서 초여름을 이어가면서 들이나 궁궐의 정원을 화사하게 만들어낸다.

백당나무는 접시처럼 원판 모양으로 하얀 좁쌀 모양의 유성화 주변에 넓은 무성화를 에워싸는 모양으로 피는데, 불두화는 넓은 무성화가 공 모양으로 둥글게 피는 게 차이가 있다. 특히 백당화는 푸른 빛을 띠는 산수국과 꽃차례가 비슷해서 착각하는 때도 있다.

이 백당나무의 열매가 밝은 루비색을 띠며 제대로 익어가고 있다. 찬 바람이 부는 서울 창경궁에서 만난 백당나무의 열매는 햇살을 받아 영롱하기까지 했다.

하얀색 유성화 부분이 알알이 열매를 맺게 되는데, 가을부터 초겨울에 이르기까지 붉은색 열매는 숲속에 사는 동물들에게 귀한 식량이 되어준다.

열매의 본질은 씨앗이다. 종족 번식은 동물에게만 주어진 본능이 아니라 식물에도 절실한 본능이다.

도토리를 열매로 맺는 여섯 종류의 참나무과 나무들도 더 많은 참나무가 숲을 장악하길 바라면서 도토리를 생산한다. 그런데 자기 밑에서 도토리가 자라길 바라는 참나무는 없다.

문백당나무는 5월부터 6월까지 하얀색 꽃을 피운다. 열매를 맺는 진짜 꽃은 하얀 좁쌀모양으로 피며, 그 주변을 넓은 가짜 꽃이 에워싸듯 핀다. 수정을 위해 더 많은 곤충을 불러들이기 위해 눈에 띄게 무성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사진은 강원도 횡성에 찍은 백당나무 .

그래서 선택한 전략이 도토리를 다람쥐와 청설모의 먹이로 만드는 것이다. 이들 동물이 도토리를 자기 집 근처로 가져가 보관하게 되면 어미나무와 멀리 떨어져 뿌리를 내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백당나무도 같은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하얀 꽃은 수정되면 녹색의 열매를 맺게 된다. 씨가 충분히 익을 때까지 이파리 등과 혼동되도록 보호색을 띤다.

그러다 절기의 변화를 느끼면서 서서히 보호색을 버리고 붉은색을 띠게 된다. 10월 말이 되면 붉은색은 더 진해진다.

그런데 왜 붉은색을 띠는 것일까. 진화론적인 이유는 열매 안에 들어 있는 씨앗을 멀리까지 전파할 새들을 부르기 위한 것이다.

곤충들의 도움을 받아 수분하기 위해 보라색을 띠는 꽃들이 많듯이 새들의 도움이 필요한 나무들은 새들이 식별할 수 있는 색으로 꽃과 열매의 색을 취한다.

백당나무의 경우, 하얀색의 꽃은 곤충들의 눈에 띄어 수분에 결정적인 도움을 받지만, 열매는 녹색에서 붉은색이 된다.

이것은 더는 곤충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붉은색은 조류를 포함해 척추동물만 볼 수 있는 색이다.

즉 씨앗을 멀리까지 이동시켜줄 새들을 위해 선택된 진화의 결과이다. 게다가 과육에는 단맛을 가득 담고 있다. 새들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이 열매를 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붉은색으로 열매의 색을 보이는 나무가 백당나무 하나는 아니다.

하얀색으로 꽃을 피웠다가 팥색의 열매를 여는 팥배나무, 그리고 숲속에서 자주 만나는 참빗살나무, 회나무, 가막살나무, 덜꿩나무, 야광나무 등도 모두 붉은색의 열매를 맺는다.

참작살나무처럼 보라색의 열매를 여는 나무도 있다. 모두 새들의 먹이가 되어 더 넓은 지역에서 자신들의 대를 잇는 나무를 기대하며 열매를 맺는 것이다.

그런데 백당나무 열매의 보호색은 꽃일 때도 같은 이유에서 자기 모습을 포장한다.

자연은 이렇게 자신의 번창을 위해 진화하고 또 진화한다. 가을 숲속에서 익어가는 붉은 열매를 보면 그 나무가 얼마나 고심하며 자신을 가꿔가는지 그 속뜻을 읽어내 보자.

기관지염에 좋은 백당나무(계수조),열매,효능,유래 – 대구수목원.

SMALL

*대구수목원에 기관지염에 좋은 특이한 백당나무( 계수조) 꽃이 신비스럽게 피었습니다!

1.백당나무( 계수조) 열매 :

효능 : 잎과 가지를 풍습,관절염, 타박상, 염좌상, 피부소양증, 옴병, 종기 등의 치료에 쓰며

열매를 기관지염 과 기침, 위궤양, 위통에 쓴다.

약으로 쓸때는 나무 전체를 사용하며 봄~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2.백당나무 명패:

흰색의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서 산방(?房)꽃차례로 무리져 피는데, 꽃차례 한가운데에는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꽃( 有性花 )이 핀다. 꽃부리는 지름이 5~6㎜로 아주 작으며, 가장자리에는 지름 3㎝의 매우 큰 꽃부리로 이루어진 중성화( 中性花 :암술과 수술이 모두 없는 꽃) 가 핀다.

3.백당나무 열매:

열매는 9월경에 붉은색 으로 익어 겨우내 매달려 있다.

4.백당나무 열매:

꽃이 달리는 모습이 수국 과 같아 목수국(木水菊) 또는 백당수국 이라 부르기도 하나 수국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모든 꽃이 중성화로만 이루어진 품종을 불두화 (V. sargentii for. sterile)라고 하며 절에서 흔히 심고 있다.

내한성이 강하고 빨리 자라 뜰에 많이 심는다.

5.백당나무 열매:

이름의 유래는 불두화, 청백당나무, 까마귀밥나무, 개불두화, 민백당나무 등의 이름이 사용되다가 경기도 방언인 백당나무가 식물명으로 정착된 모양이다.

하지만, 백당나무의 정확한 어원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은 듯 하다.

6.백당나무 열매: 백당나무는 전국에 분포 산이나 들의 습지 에 자생하며 키는 3m 내외 의 낙엽활엽관목으로 번식은 꺾꽂이, 종자 번식한다. 성질은 평온하며, 달고 쓰다. 독성은 없으며 1회사용량은 전체6~8g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민백당나무도 같이 사용한다.

7.백당나무 꽃: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나 있는데 털이 없는 종류를 민백당나무라고 한다. 모든 꽃이 무성화(중성화)인 것을 불두화(佛頭花)라고 하여 절에서 심고 있다. 백당나무의 재목은 예부터 이쑤시개로 쓰였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8.백당나무 열매:

생약명 은 계수조(鷄樹條) 이다.

9.백당나무 열매

10.백당나무 열매

11.백당나무 열매

12.백당나무 열매

13.백당나무 열매

14.백당나무 열매

15.백당나무 열매

16.백당나무 열매

17.백당나무 열매

18.백당나무 열매

19.백당나무

20.백당나무 꽃:

흰색의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서 산방(?房)꽃차례로 무리져 피는데, 꽃차례 한가운데에는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꽃( 有性花 )이 핀다.

*백당나무 (Ibota Privet)

1.뜻: 마음

2. 학명: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3.분류: 인동과(忍冬科 Caprofo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4. 분포: 아시아

5.서식지:산지의 습한 곳

반응형

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민백당나무][접시꽃나무] [개불두화] [까마귀밥나무] [청백당나무]

꽃과열매의 관상가치는 높으나,열매에서 악취가난다. 꽃이 달리는 모습이 수국과 같아 목수국(木水菊) 또는 백당수국이라 부르기도 하나 수국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백당나무 꽃이 가지 끝마다 피어 있는 모습을 옆에서 보면 하얀 꽃두름이 마치 작은 단(壇)을 이루는것같아, 백단(白壇)나무로 불리다가 백당나무 로 불리게 되었다.

백당나무열매

백당나무열매

백당나무열매 백당나무열매

학명: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ara

분류: 인동과(忍冬科 Caprofoliaceae) 산분꽃나무속(Viburnum)

형태: 낙엽활엽관목

분포서식: 원산지는한국이며,일본,중국에 분포하며 양지바른 산지에서자란다.

개화기:약 2m~4m 꽃은 5~6월에 산방꽃차례에 자잘한 흰색꽃이 둥근 접시 모양으로 납작하게 모여 달리며, 꽃차례 가장자리에는 꽃잎만 가진 장식꽃이 빙 둘러 가며 핀다. 열매: 9월에 둥글며,적색으로익는다.

특징: 꽃과열매의 관상가치는 높으나,열매에서 악취가난다.

반응형

한겨울 백당나무 열매와 ‘사랑의 열매’

<백당나무 (인동과) 학명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한겨울의 황량한 숲속에서 루비처럼 빛나는 백당나무 열매를 보면 ‘사랑의 열매’가 떠오릅니다. ‘사랑의 열매’는 해마다 12월이 되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자선냄비와 함께 한 해 끝자락의 상징물이기도 합니다. 뉴스 앵커의 옷깃에 매단 사랑의 열매가 보입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고, 이제껏 한 번도 듣도 보도 못한 숱한 사건과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점철된 한 해의 12월이 되었나 봅니다. 일상이 깨지고, 상식과 관행이 뒤집히고 혼란스럽기만 했던 올 한 해도 어느새 저물어 가나 봅니다.

산야에 풀도 꽃도 없는 12월은 황량하기만 합니다. 봄부터 꽃을 찾아 헤매대던 꽃쟁이들에게는 푸른 초목과 꽃이 그립습니다. 그래서인지 이때쯤 나타난 방송인과 소위 유명 인사들의 옷깃에 달린, ‘사랑의 열매’라고 불리는 배지에 유달리 눈길이 갑니다. 언제부터인가 저에게는 이 배지를 볼 때마다 한 가지 의문이 생겼습니다. 짙은 초록빛 줄기와 강렬한 빨간 빛의 탐스러운 열매가 선명한 대조를 이루는, 저 배지는 어떤 나무의 열매일까? 어떤 나무에서 유래했을까? 궁금해서 인터넷을 뒤져보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홈페이지에 ‘백당나무와 사랑의 열매’라는 항목에 아래와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사랑의 열매는 1970년 초부터 수재의연금과 불우이웃돕기 성금을 모금할 때 보건복지부 산하 이웃돕기추진운동본부에서 사랑의 열매를 ‘상징’으로 사용해왔으며, 사랑의 열매 형태는 우리나라 야산에 자생하고 있는 산열매를 형상화했습니다. 한편, 2003년 2월 산림청에서 “백당나무”를 이달의 나무로 선정하면서 사랑의 열매와 닮은 점을 언급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 글을 살펴보면 사랑의 열매가 무슨 나무의 열매라고 딱히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야산에 자생하고 있는 산열매를 형상화’한 것이라고만 했을 뿐이며 산림청에서 설명한 백당나무를 애매하게 덧붙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출처에 관한 명확한 설명이 어디에도 없다 보니 야생화를 좋아하며 꽃을 찾는 꽃쟁이들 사이에서는 ‘사랑의 열매’ 유래에 관하여 나름대로 타당성 있는 여러 설이 나돌고 있습니다.

사랑의 열매를 닮은 나무 열매로는 백당나무 외에도 겨울철 야산에서 만날 수 있는 호랑가시나무, 백량금. 피라칸타, 낙상홍 등이 있습니다. 이들 중 크리스마스 카드와 장식에 사용되는 호랑가시나무는 잎의 가시, 붉은 열매가 그리스도의 가시 면류관, 붉은 피 등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12월의 모금 활동과 나눔, 사랑을 의미한다는 차원에서 호랑가시나무가 사랑의 열매와 가장 많은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랑의 열매’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열매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저는 한겨울에 백당나무 열매를 볼 적마다 ‘사랑의 열매’가 연상됩니다. 백당나무는 위에서 말한 호랑가시나무, 백량금. 피라칸타와 달리 남부지역만이 아닌 우리나라 전 지역에 고루 자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찬바람 휘몰아치는 겨울 숲속에서 사랑의 열매처럼 맑고 영롱한 빛의 새빨간 열매를 매달고 있기 때문입니다.

<꿀이 많은 꽃, 새빨간 열매가 돋보이는 백당나무>

‘마음’이라는 꽃말을 가진 백당나무는 북반구의 온대와 아열대에 널리 분포하는 낙엽 활엽관목입니다. 잎은 마주나고 끝이 세 개로 갈라집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핍니다. 가장자리의 크고 하얀 꽃은 곤충을 유혹하기 위한 무성화(無性花)이고 가운데 부분의 작은 꽃들이 수술과 암술을 가지고 열매를 맺는 정상화(正常花)입니다. 열매는 핵과(核果)로서 둥글고 빨간색입니다. 아주 밝고 맑은 빨간 구슬 같은 모양의 열매는 가을에 익어 겨울까지 달려 꽃보다 붉은 열매가 더 돋보이는 관상수입니다.

백당나무 이름의 유래는 꽃이 흰색이고 당분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꿀이 많아 밀원(蜜源)식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백당나무의 붉은 열매는 겨울 산새의 비상용 먹거리입니다. 깨물면 단물이 톡 터질 것만 같이 맑고 곱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맛이 아니라 맛이 씁니다. 겨울 먹거리가 눈에 묻히거나 바닥이 날 때까지는 산새도 별로 접근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겨울이 다 가도록 열매를 산새들이 남겨둔 까닭은 냄새와 맛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꽃말이 ‘마음’인 백당나무, 한여름에는 벌, 나비에게 풍부한 꿀을 제공하고 먹거리가 귀한 한겨울에는 산새의 비상용 먹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사랑의 열매가 갖는 의미에 부합한 나무라는 생각이 듭니다. 세 개의 빨간 열매가 달린 사랑의 열매는 ‘나’와 ‘가족’ 그리고 ‘이웃’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빨간색은 따뜻한 사랑의 마음을, 하나로 모인 청색 줄기는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사랑의 열매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정신을 담고 있는 상징물입니다.

어둡고 춥고 황량한 겨울 숲속에서 만나면 포근하고 따뜻함을 전해 주는 백당나무 열매를 닮은 ‘사랑의 열매’를 봅니다. ‘따뜻한 사랑의 마음과 하나로 모인, 더불어 사는 사회’가 떠오릅니다. 하지만 작금의 암울한 우리 사회를 보면 분노가 치밉니다. 오직 내 편, 남의 편으로 딱 갈라져 기본 상식도 양심도 저버린 뻔뻔함과 몰염치로만 치달아 집단 최면에 빠져버린 것 같습니다. 한 해를 보내며 새해를 기다리는 세밑에 ‘사랑의 열매’가 갖는 숭고한 의미를 어떻게 하면 우리 마음속과 사회에 되살릴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집단 최면에 빠져 이성과 합리성을 잃어버린 편갈림 사회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까? 책임과 봉사 정신으로 사회를 이끌어 가야 할 여야(與野) 의원 나리들이 몰상식한 집단으로만 보이니 어찌하면 좋습니까?

정의의 판단은 지식으로 하는 게 아니라 상식으로 하는 것이라 믿습니다. 하나의 목적, 그것도 일방적으로 설정한, 그 목적 달성이 모든 과정과 절차는 위법 부당해도 발전적 방향이며 민주화라는 집단 최면에 함몰된 궤변만 넘쳐납니다. 이 판국에 지성과 상식, 교양과 예의, 원로와 초보의 차이점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그저 몰염치와 뻔뻔함, 위선과 거짓, 내로남불, 변하여 변한다는 무원칙의 난장판이 펼쳐지는 세상입니다. 이 난감한 시국에 ‘사랑의 열매’가 지닌 뜻이 마법처럼 번져나게 할 수는 없을까? ‘사랑의 열매’를 바라보며 참으로 참담하고 답답한 심정으로 새해의 꿈도 잃고, 가는 한 해를 탄식으로 보내야만 하나 봅니다.

(2020. 12. 15 자유칼럼)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백당 나무 열매

다음은 Bing에서 백당 나무 열매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 백당나무
  • 백당나무꽃
  • 백당나무 열매
  • Viburnum sargentii KOEHNE
  • 접시꽃나무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YouTube에서 백당 나무 열매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을 숲속의 붉은 전사 백당나무열매(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KOEHNE ) | 백당 나무 열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오픈 소스 공모전 | [좋은일터기업공모 수상기업] 최고의 오픈소스 전문가가 모엿다! 오픈소스컨설팅~! 22571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Leave a Comment